오랜만에 여기에 글을 써본다.
주제는 다름이 아니라 스카이라이프에 관한 것이다.
원래 한 달 전에 여기에 대해 글을 쓰려고 했는데, 워낙 다른 일들에 치여서 계속 미뤄졌다. 따라서 지금 겨우 글을 쓰게 되었다.
집에 스카이라이프가 들어오게 된 건 2010년 12월이었다.
그 이전까지는 유선방송이 전부였고, 셋톱박스 같은 것은 집에 없었다.
내가 가입 신청을 한 건 아니고, 가족 중 한 명이 이사때문에 이전 신청을 하다가 상담사 권유에 휩쓸렸는지 얼떨결에 가입하게 된 것이다.
셋톱박스라든가, 위성방송이라는 개념은 알고만 있었을 뿐 써본 적이 없어서 호기심도 있었다. 따라서 가입을 굳이 반대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이사 이후 얼마 안 있다가 기사님이 스카이라이프를 설치하고 갔다.
가입한 상품은 '쿡TV 스카이라이프' 라서, 쿡TV 쪽 VOD와 스카이라이프 쪽 SkyChoice 둘 다 지원이 되었다.
가입 특전으로 영화 한 편을 무료로 볼 수 있게 해주길래 당시 개봉한지 몇 개월도 안된 '아저씨' 를 본 게 생각난다.
난생 처음 쓰게 된 셋톱박스라서 UI라든가 그런 것들이 신기하였고, 갑자기 디지털 시대로 온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셋톱박스와 연결된 TV는 아날로그 방식에 컴포지트 밖에 지원되지 않았다. 컴퓨터에 장착된 TV수신카드 또한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유선방송과의 화질 차이는 별로 느낄 수가 없었다.
2010년 12월 당시의 채널 편성표를 캡처해놓은 것이다.
가입한 상품이 '스탠다드' 였기 때문에, '프리미엄' 급 채널은 시청할 수 없었다.
또한, 안타깝게도 이때는 투니버스가 스카이라이프 쪽에 나오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투니버스는 스카이라이프 설립 초기인 2002년에는 송출되었으나, 불과 1년 만에 송출 중단을 하였기 때문이다. 이 사태로 인한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땜빵한 채널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니켈로디언과 애니맥스다.
그 후 투니버스는 2011년 9월 1일에 다시 스카이라이프로 복귀하게 된다.
아무튼 주로 보던 채널이 스카이라이프에서 볼 수 없었고, TV수신카드에도 연결이 곤란하다 보니 이때부터 나는 TV를 별로 보지 않게 되었다.
그래도 어째서인지 모르겠지만 당시의 애니메이션 채널들을 디카로 찍어놓은 게 있다. 본문에 첨부하기로 한다.
(아마 2011년 1월에 찍었을 거다.)
그 외에 애니플러스는 76번. Playhouse Disney는 653번. 카툰네트워크는 659번이었는데, 프리미엄 상품이라서 나오지 않았으므로 찍지 않았다.
그리고 2011년 10월...
나는 TV수신카드와 셋톱박스를 연결해서 한번 더 애니메이션 채널들을 캡처하게 된다.
아래에 사진을 첨부한다.
투니버스. 당시 74번.
애니플러스. 당시 76번. (시청 불가능)
애니박스. 당시 321번. (HD 채널인 75번은 시청 불가능 하였다.)
디즈니채널. 당시 77번.
디즈니주니어. 당시 78번.
CBeebies. 당시 652번.
애니원TV. 당시 655번.
애니맥스. 당시 656번.
어린이TV. 당시 657번.
재능TV. 당시 658번.
카툰네트워크. 당시 659번.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화질도 구리고 연결이 좀 귀찮다 해도 몇몇 애니메이션 작품은 녹화라도 해둘걸 그랬다...
다만 저때는 나도 학생이었고, 클럽박스도 건재하던 시기라서... 녹화유저들이 알아서 해주겠지라는 생각때문에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그 후 시간은 쏜살같이 지나갔다.
중간에 ICOD인가 뭔가 때문에 셋톱박스가 한번 교체되었고...
프리미엄 상품이라고 못 보게 하던 카툰네트워크도 애니플러스도... 어느샌가 다 나오게 되었다. 다만 안타깝게도 채널을 찍어놓은 사진이 없다...
셋톱박스를 연결하던 브라운관 TV는 접촉 불량 문제인지 자꾸 화면에 갈색 줄이 생겨서 시청에 지장을 주었다.
결국 2019년 2월에 싸구려 모니터에게 임무를 넘겨주고 은퇴하게 된다.
아, 이때 HDMI 포트를 지원하는 캡처보드와 분배기도 구입하게 되었다. 20만원 가까이 비용이 들어서 뭐 이리 비싸냐고 생각했지...
하지만 이 싸구려 모니터는 교체 후 1년 동안은 멀쩡하다가, 그 후 화면에 줄이 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만병통치제인 뒷면을 쾅쾅 치는 방식도 그때 뿐이고, 얼마 안 가서 다시 증세가 발병하였다.
결국 싸구려 모니터는 2022년 1월 삼성 커브드 모니터에게 임무를 넘겨주고 은퇴하게 된다.
다시는 중소기업 꺼 안 산다.
어쨌든 화면 문제는 해결이 되었다. 그런데... 셋톱박스가 발목을 잡기 시작했다. 가동한지 10년이 다 되어서 그런가.
가끔가다 boot 라는 문구만 뜨고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는 셋톱박스 뒷면의 스위치를 껐다 켜는 식으로 해결해야 됐는데, 이것도 참 귀찮은 일이었다.
그래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이니까 참았다.
그러나 2023년 5월.
어떻게 된 건지 채널 신호가 전혀 안 나오기 시작했다. 뭔가 선이 중간에 뚝 끊긴 것처럼 말이다.
A/S를 불렀다. 안테나 쪽에서 기사님이 동축선을 다시 따서 신호가 멀쩡히 돌아왔다. 중간에 동축선이 왜 삭은 걸까?
어쨌든 이렇게 한번 고쳤으니, 더는 고장이 안 날 줄 알았다...
하지만 2024년 7월.
또 다시 신호 끊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번에는 대체 뭐가 문제란 말인가.
그나마 장마철, 폭설 같은 악천후 대비 차원으로 인터넷망을 통해 일부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여름에는 그걸로 참았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그때 바로 A/S를 불렀으면 어땠을까 싶은데... 귀찮기도 하고 바쁘기도 하다 보니 안 했다.
그리고 두 달이 흐른 9월이 되어서 겨우 옥상에 올라갔다.
동축선을 다시 따서 안테나 밑에 연결해주었다. 나중에 검정 테이프에 철사까지 감아서 빠지지 않게 보강했다.
하지만 이렇게 재연결을 해주어도 신호는 바로 돌아오지 않았다... 11월이 되니까 겨우 신호가 돌아왔는데, 월말 즈음에 폭설이 내리더니 그 후로 다시 신호가 끊겼다... 무슨 병 주고 약주고 하는 것도 아니고.
12월은 뭐... 다들 알다시피 나라에 기상천외한 일들이 벌어져서 빠르게 흘러가버렸고, 어느덧 해를 넘겨 설 연휴가 되었다.
설 연휴에 접어드니 갑자기 위성 신호가 복구되었다. 이제는 제발 신호가 끊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2월 1일이 되자마자 신호는 다시 끊기고 말았다. 빌어먹을.
일단 안테나와 동축선 연결은 멀쩡한 게 확실하다. 연결이 잘못되었다면 아예 신호가 잠시 멀쩡해질 일도 없었을 거다.
그럼 뭐가 문제란 말인가? DCS 방식? 그건 집의 안테나를 쓰지 않고 전화국 안테나에서 신호를 받는 시스템이다. 그게 일시적으로 풀린 거일수도 있는데, 설 연휴에만 풀릴 이유가 있겠는가.
아니면... 지금 셋톱박스에 뭔가 차단이라도 걸렸다는 건가? 설 연휴에만 특별 서비스로 풀어주고?
요금 납부는 잘 하고 있는데 뭘 잘못 했다고 차단을 건단 말인가. 이해할 수가 없다.
결국 이런 부당한 대우에 더 이상은 버틸 수 없어서... 스카이라이프를 해지하고 일반 지니TV로 상품을 바꾸기로 하였다.
평일이 되자마자 100번에 전화 걸어서 상품변경 문의를 하였다. 다행히 결합할인을 깨지 않고 상품만 변경할 수 있었다... (처음에 KT를 통해 가입해서 그런가)
이걸로 14년 조금 넘게 사용한 스카이라이프와의 인연도 끝이다... 후련하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고...
신청 후 나흘 정도 지나서 장비 교체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스카이라이프 셋톱박스는 기사님이 수거해갔고, 기가지니 셋톱박스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나중에 HDMI 분배기를 통해 캡처보드에도 연결해보았는데, 멀쩡하게 화면이 출력되었다. 참으로 다행이다.
다만 셋톱박스를 바꾸면서 LAN선 구조 문제로 인해, 기존의 모뎀과도 아쉬운 작별을 하게 되었다.
이것도 대략 14년 넘게 쓴 모뎀이었는데... 그동안 고장없이 멀쩡히 작동해줘서 고마울 따름이다.
새로 온 기가피버2 모뎀은 랜포트가 4개나 있어서 유선공유기와 비슷한 느낌도 든다.
이제는 모뎀에서부터 인터넷 신호를 분리해서 보내줄 수 있나보다. 세상 참 좋아졌군...
(재생 만료 소리 뜨면 그냥 여기에 들어가서 보기 바란다.)
아무튼 그동안 쓰지 못하다가 이제서야 쓰게 된, 스카이라이프에서 지니TV로 변경한 후기를 여기서 모두 마친다.
마지막으로 기가지니 UI 및 애니메이션 채널 스캔한 영상을 첨부한다.
그럼 이만...
'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g.co.kr 공사중? (0) | 2016.09.06 |
---|---|
2013년 7월 당시의 olleh tv mobile 월정액 가입 안하고 볼 수 있는 채널 목록. (0) | 2013.07.03 |
삼성전자 CT-1492 박스 사진. (0) | 2013.03.22 |
일본방송 무서운 클로징멘트 8연발 (코멘트 번역) (0) | 2013.03.02 |
무서운 일본방송 종료 클로징 (CBC 중부일본방송) (0) | 201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