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간화자총표(简化字总表)의 제3표 파트2 (간화편방의 적용예시) 와 부록 (사용하지 않는 이체자, 지명 글자 변경) 을 번역하고 한국 한자음을 추가한 글이다.
간화자총표 출처는 위키문헌 중문판 페이지(링크)이며, 한자음 출처는 네이버 한자사전이다.
-------------------
- 간화편방
* 讠〔言〕 (말씀언변 - 부수)计〔計〕 셀 계订〔訂〕 바로잡을 정讣〔訃〕 부고 부讥〔譏〕 비웃을 기议〔議〕 의논할 의讨〔討〕 칠 토讧〔訌〕 어지러울 홍讦〔訐〕 들추어낼 알记〔記〕 기록할 기讯〔訊〕 물을 신讪〔訕〕 헐뜯을 산训〔訓〕 가르칠 훈讫〔訖〕 이를 흘访〔訪〕 찾을 방讶〔訝〕 의심할 아讳〔諱〕 숨길 휘讵〔詎〕 어찌 거讴〔謳〕 노래 구诀〔訣〕 이별할 결讷〔訥〕 말 더듬거릴 눌设〔設〕 베풀 설讽〔諷〕 풍자할 풍讹〔訛〕 그릇될 와䜣〔訢〕 기뻐할 흔许〔許〕 허락할 허论〔論〕 논할 론讼〔訟〕 송사할 송讻〔訩〕 송사할 흉诂〔詁〕 주낼 고诃〔訶〕 꾸짖을 가评〔評〕 평할 평诏〔詔〕 조서 조, 소개할 소词〔詞〕 말 사译〔譯〕 번역할 역诎〔詘〕 굽힐 굴诇〔詗〕 염탐할 형诅〔詛〕 저주할 저识〔識〕 알 식诌〔謅〕 농담할 초诋〔詆〕 꾸짖을 저诉〔訴〕 호소할 소诈〔詐〕 속일 사诊〔診〕 진찰할 진诒〔詒〕 보낼 이诨〔諢〕 농담할 원该〔該〕 갖출 해详〔詳〕 자세할 상诧〔詫〕 속일 타诓〔誆〕 속일 광诖〔詿〕 그르칠 괘诘〔詰〕 물을 힐诙〔詼〕 조롱할 회试〔試〕 시험 시诗〔詩〕 시 시诩〔詡〕 자랑할 후诤〔諍〕 간할 쟁诠〔詮〕 설명할 전诛〔誅〕 벨 주诔〔誄〕 애도할 뢰诟〔詬〕 꾸짖을 구诣〔詣〕 이를 예话〔話〕 말씀 화诡〔詭〕 속일 궤询〔詢〕 물을 순诚〔誠〕 정성 성诞〔誕〕 낳을 탄浒〔滸〕 물가 호, 물가 허诮〔誚〕 꾸짖을 초说〔説〕 말씀 설, 달랠 세诫〔誡〕 경계할 계诬〔誣〕 속일 무语〔語〕 말씀 어诵〔誦〕 외울 송罚〔罰〕 벌줄 벌误〔誤〕 그르칠 오诰〔誥〕 고할 고诳〔誑〕 속일 광诱〔誘〕 꾈 유诲〔誨〕 가르칠 회诶〔誒〕 탄식할 희狱〔獄〕 옥 옥谊〔誼〕 정 의谅〔諒〕 살펴 알 량谈〔談〕 말씀 담谆〔諄〕 타이를 순谉〔讅〕 살필 심谇〔誶〕 꾸짖을 수请〔請〕 청할 청诺〔諾〕 허락할 낙诸〔諸〕 모두 제读〔讀〕 읽을 독诼〔諑〕 헐뜯을 착诹〔諏〕 물을 추课〔課〕 공부할 과诽〔誹〕 헐뜯을 비诿〔諉〕 번거롭게 할 위谁〔誰〕 누구 수谀〔諛〕 아첨할 유调〔調〕 고를 조谄〔諂〕 아첨할 첨谂〔諗〕 고할 심谛〔諦〕 살필 체, 울 제谙〔諳〕 외울 암谜〔謎〕 수수께끼 미谚〔諺〕 언문 언谝〔諞〕 말 잘할 편谘〔諮〕 물을 자谌〔諶〕 참 심谎〔謊〕 잠꼬대할 황谋〔謀〕 꾀 모谍〔諜〕 염탐할 첩谐〔諧〕 화할 해谏〔諫〕 간할 간谞〔諝〕 슬기 서谑〔謔〕 희롱할 학谒〔謁〕 뵐 알谔〔諤〕 곧은 말할 악谓〔謂〕 이를 위谖〔諼〕 속일 훤谕〔諭〕 타이를 유谥〔謚〕 웃을 익谤〔謗〕 헐뜯을 방谦〔謙〕 겸손할 겸谧〔謐〕 고요할 밀谟〔謨〕 꾀 모谠〔讜〕 곧은 말 당谡〔謖〕 일어날 속谢〔謝〕 사례할 사谣〔謠〕 노래 요储〔儲〕 쌓을 저谪〔謫〕 귀양 갈 적谫〔謭〕 얕을 전谨〔謹〕 삼갈 근谬〔謬〕 그르칠 류谩〔謾〕 속일 만谱〔譜〕 족보 보谮〔譖〕 참소할 참谭〔譚〕 클 담谰〔讕〕 헐뜯을 란谲〔譎〕 속일 휼谯〔譙〕 꾸짖을 초蔼〔藹〕 우거질 애槠〔櫧〕 돌가시나무 저谴〔譴〕 꾸짖을 견谵〔譫〕 헛소리 섬谳〔讞〕 평의할 언辩〔辯〕 말씀 변䜩〔讌〕 이야기할 연雠〔讎〕원수 수 *틀린 곳을 교정(校雠)한다는 의미로 사용. 원한·원수의 의미로 표시할때는 '仇雠(구수)' 처럼 仇(원수 구)를 사용한다.谶〔讖〕 예언 참霭〔靄〕 아지랑이 애
* 饣〔食〕 (밥식변 - 부수)
饥〔饑〕 주릴 기
饦〔飥〕 수제비 탁
饧〔餳〕 엿 당
饨〔飩〕 경단 돈
饭〔飯〕 밥 반
饮〔飲〕 마실 음
饫〔飫〕 물릴 어
饩〔餼〕 보낼 희
饪〔飪〕 익힐 임
饬〔飭〕 신칙할 칙
饲〔飼〕 기를 사
饯〔餞〕 보낼 전
饰〔飾〕 꾸밀 식
饱〔飽〕 배부를 포
饴〔飴〕 엿 이
饳〔飿〕 골돌 돌
饸〔餄〕 경단 협, 떡 겹
饷〔餉〕 건량 향
饺〔餃〕 경단 교
饻〔餏〕 화폐 단위 의
饼〔餅〕 떡 병
饵〔餌〕 미끼 이
饶〔饒〕 넉넉할 요
蚀〔蝕〕 좀먹을 식
饹〔餎〕 협락 락
饽〔餑〕 떡 발(불)
馁〔餒〕 주릴 뇌
饿〔餓〕 주릴 아
馆〔館〕 집 관
馄〔餛〕 경단 혼
馃〔餜〕 떡 과
馅〔餡〕 떡소 함
馉〔餶〕 고기 만두 골
馇〔餷〕 끓이면서 휘저을 사
馈〔饋〕 보낼 궤
馊〔餿〕 밥 쉴 수
馐〔饈〕 드릴 수
馍〔饃〕 찐빵 막
馎〔餺〕 수제비 박
馏〔餾〕 밥 뜸 들 류
馑〔饉〕 주릴 근
馒〔饅〕 만두 만
馓〔饊〕 산자 산
馔〔饌〕 반찬 찬
馕〔饢〕 처먹을 낭(양)
* 𠃓〔昜〕 (볕양 - 성부)
汤〔湯〕 끓일 탕
扬〔揚〕 날릴 양
场〔場〕 마당 장
旸〔暘〕 해돋이 양
饧〔餳〕 엿 당
炀〔煬〕 쬘 양
杨〔楊〕 버들 양
肠〔腸〕 창자 장
疡〔瘍〕 헐 양
砀〔碭〕 무늬 있는 돌 탕
畅〔暢〕 화창할 창
钖〔鍚〕 당노 양
殇〔殤〕 일찍 죽을 상
荡〔蕩〕 방탕할 탕
烫〔燙〕 데울 탕
觞〔觴〕 잔 상
* 纟〔糹〕 (실사변(가는실 멱) - 부수)
丝〔絲〕 실 사, 가는 실 멱
纠〔糾〕 얽힐 규
纩〔纊〕 솜 광
纡〔紆〕 굽을 우
纣〔紂〕 껑거리끈 주, 주임금 주
红〔紅〕 붉을 홍
纪〔紀〕 벼리 기
纫〔紉〕 새끼 인
纥〔紇〕 묶을 흘
约〔約〕 맺을 약
纨〔紈〕 흰 비단 환
级〔級〕 등급 급
纺〔紡〕 길쌈 방
纹〔紋〕 무늬 문
纬〔緯〕 씨 위
纭〔紜〕 어지러울 운
纯〔純〕 순수할 순
纰〔紕〕 가선 비
纽〔紐〕 맺을 뉴(유)
纳〔納〕 들일 납
纲〔綱〕 벼리 강
纱〔紗〕 비단 사
纴〔紝〕 짤 임
纷〔紛〕 어지러울 분
纶〔綸〕 벼리 륜
纸〔紙〕 종이 지
纵〔縱〕 세로 종
纾〔紓〕 느슨할 서
纼〔紖〕 쇠고삐 진
咝〔噝〕 나는 소리 사
绊〔絆〕 얽어맬 반
线〔綫〕 줄 선
绀〔紺〕 감색 감
绁〔紲〕 고삐 설
绂〔紱〕 인끈 불
绋〔紼〕 엉킨 실 불
绎〔繹〕 풀 역
经〔經〕 지날 경
绍〔紹〕 이을 소
组〔組〕 짤 조
细〔細〕 가늘 세
䌷〔紬〕 명주 주
绅〔紳〕 큰 띠 신
织〔織〕 짤 직
绌〔絀〕 물리칠 출
终〔終〕 마칠 종
绉〔縐〕 주름질 추
绐〔紿〕 속일 태
哟〔喲〕 감탄하는 어조사 약
绖〔絰〕 질 질
荮〔葤〕 꾸러미 주
荭〔葒〕 개여뀌 홍
绞〔絞〕 목맬 교
统〔統〕 거느릴 통
绒〔絨〕 가는 베 융
绕〔繞〕 두를 요
绔〔絝〕 바지 고
结〔結〕 맺을 결
绗〔絎〕 바느질할 행
给〔給〕 줄 급
绘〔繪〕 그림 회
绝〔絶〕 끊을 절
绛〔絳〕 진홍 강
络〔絡〕 이을 락
绚〔絢〕 무늬 현
绑〔綁〕 동여맬 방
莼〔蒓〕 순채 순
绠〔綆〕 두레박줄 경
绨〔綈〕 깁 제
绡〔綃〕 생사 초
绢〔絹〕 비단 견
绣〔綉〕 수놓을 수
绥〔綏〕 편안할 수
绦〔縧〕 끈 조
鸶〔鷥〕 해오라기 사
综〔綜〕 모을 종
绽〔綻〕 터질 탄
绾〔綰〕 얽을 관
绻〔綣〕 정다울 권
绩〔績〕 길쌈할 적
绫〔綾〕 비단 릉
绪〔緒〕 실마리 서
续〔續〕 이을 속
绮〔綺〕 비단 기
缀〔綴〕 엮을 철
绿〔緑〕 푸를 록
绰〔綽〕 너그러울 작
绲〔緄〕 띠 곤
绳〔繩〕 노끈 승
绯〔緋〕 비단 비
绶〔綬〕 인끈 수
绸〔綢〕 얽을 주
绷〔綳〕 묶을 붕
绺〔綹〕 끈목 류
维〔維〕 벼리 유
绵〔綿〕 솜 면
缁〔緇〕 검을 치
缔〔締〕 맺을 체
编〔編〕 엮을 편
缕〔縷〕 실 루
缃〔緗〕 담황색 상
缂〔緙〕 꿰맬 격
缅〔緬〕 멀 면
缘〔緣〕 인연 연
缉〔緝〕 모을 집
缇〔緹〕 붉을 제
缈〔緲〕 아득할 묘
缗〔緡〕 낚싯줄 민
缊〔緼〕 헌솜 온
缌〔緦〕 삼베 시
缆〔纜〕 닻줄 람
缓〔緩〕 느릴 완
缄〔緘〕 봉할 함
缑〔緱〕 칼자루 감을 구
缒〔縋〕 매달 추
缎〔緞〕 비단 단
辔〔轡〕 고삐 비
缞〔縗〕 상복 이름 최
缤〔繽〕 어지러울 빈
缟〔縞〕 명주 호
缣〔縑〕 합사 비단 겸
缢〔縊〕 목맬 액
缚〔縛〕 얽을 박
缙〔縉〕 붉은 비단 진
缛〔縟〕 꾸밀 욕
缜〔縝〕 고울 진
缝〔縫〕 꿰맬 봉
缡〔縭〕 끈 리
潍〔濰〕 강 이름 유
缩〔縮〕 줄일 축
缥〔縹〕 휘날릴 표
缪〔繆〕 얽을 무
缦〔縵〕 무늬 없는 비단 만
缨〔纓〕 갓끈 영
缫〔繅〕 고치 켤 소
缧〔縲〕 포승 류
蕴〔藴〕 쌓을 온
缮〔繕〕 기울 선
缯〔繒〕 비단 증
缬〔纈〕 홀치기 염색 힐
缭〔繚〕 감길 료
橼〔櫞〕 구연나무 연
缰〔繮〕 고삐 강
缳〔繯〕 맬 현
缲〔繰〕 야청 통견 조
缱〔繾〕 곡진할 견
缴〔繳〕 주살끈 격
辫〔辮〕 땋을 변
缵〔纘〕 이을 찬
* 𰀡〔臤〕 (어질현 머리? - 성부)
坚〔堅〕 굳을 견
贤〔賢〕 어질 현
肾〔腎〕 콩팥 신
竖〔竪〕 세울 수
悭〔慳〕 아낄 간
紧〔緊〕 긴할 긴
铿〔鏗〕 금옥소리 갱
鲣〔鰹〕 가물치 견
* 𫇦〔𤇾〕 (꽃 영 - 성부)
劳〔勞〕 일할 로
茕〔煢〕 외로울 경
茔〔塋〕 무덤 영
荧〔熒〕 등불 형
荣〔榮〕 영화 영
荥〔滎〕 실개천 형
荦〔犖〕 얼룩소 락
涝〔澇〕 큰 물결 로
崂〔嶗〕 산 험할 로
莹〔瑩〕 의혹할 형, 밝을 영
捞〔撈〕 건질 로
唠〔嘮〕 떠들썩할 로
莺〔鶯〕 꾀꼬리 앵
萤〔螢〕 반딧불이 형
营〔營〕 경영할 영
萦〔縈〕 얽힐 영
痨〔癆〕 중독 로
嵘〔嶸〕 가파를 영
铹〔鐒〕 놋그릇 로
耢〔耮〕 쟁기 로
蝾〔蠑〕 영원 영
* 𰀢〔𰯲〕 (살필감 머리? - 성부)
览〔覽〕 볼 람
揽〔攬〕 가질 람
缆〔纜〕 닻줄 람
榄〔欖〕 감람나무 람
鉴〔鑒〕 거울 감
* 只〔戠〕 (찰흙시 - 성부)
识〔識〕 알 식
帜〔幟〕 기 치
织〔織〕 짤 직
炽〔熾〕 성할 치
职〔職〕 직분 직
* 钅〔釒〕 (쇠금변(편방자 금) - 부수)
钆〔釓〕 돌쇠뇌 엄니 구
钇〔釔〕 이트륨 을
钌〔釕〕 대구 조
钋〔釙〕 불리지 않은 쇠 박
钉〔釘〕 못 정
针〔針〕 바늘 침
钊〔釗〕 쇠 쇠
钗〔釵〕 비녀 채
钎〔釺〕 정 천
钓〔釣〕 낚을 조
钏〔釧〕 팔찌 천
钍〔釷〕 토륨 토
钐〔釤〕 낫 삼
钒〔釩〕 떨칠 범
钖〔鍚〕 당노 양
钕〔釹〕 네오디뮴 녀
钔〔鍆〕 멘델레븀 문
钬〔鈥〕 홀뮴 화
钫〔鈁〕 준 방
钚〔鈈〕 날 있는 창 비
䥺〔釾〕 칼 이름 야
钪〔鈧〕 스칸듐 항
钯〔鈀〕 병거 파
钭〔鈄〕 술 그릇 두
钙〔鈣〕 칼슘 개
钝〔鈍〕 둔할 둔
钛〔鈦〕 티타늄 태
钘〔鈃〕 사람 이름 견, 술 그릇 형
钮〔鈕〕 인꼭지 뉴
钞〔鈔〕 노략질할 초
钢〔鋼〕 강철 강
钠〔鈉〕 메 납
钡〔鋇〕 쇠뭉치 패
钤〔鈐〕 비녀장 검
钧〔鈞〕 서른 근 균
钩〔鈎〕 갈고리 구
钦〔欽〕 공경할 흠
钨〔鎢〕 작은 가마솥 오
铋〔鉍〕 창 자루 필
钰〔鈺〕 보배 옥
钱〔錢〕 돈 전
钲〔鉦〕 징 소리 정
钳〔鉗〕 칼 겸
钴〔鈷〕 다리미 고
钺〔鉞〕 도끼 월
钵〔鉢〕 바리때 발
钹〔鈸〕 방울 발
钼〔鉬〕 몰리브덴 목
钾〔鉀〕 갑옷 갑
铀〔鈾〕 우라늄 유
钿〔鈿〕 비녀 전
铎〔鐸〕 방울 탁
䥽〔鏺〕 낫 발
铃〔鈴〕 방울 영(령)
铅〔鉛〕 납 연
铂〔鉑〕 금박 박
铄〔鑠〕 녹일 삭
铆〔鉚〕 쇠 류
铍〔鈹〕 쇠꼬챙이 피
钶〔鈳〕 노구솥 아
铊〔鉈〕 짧은 창 사
钽〔鉭〕 탄탈 단
铌〔鈮〕 실패 니
钷〔鉕〕 구리 그릇 파
铈〔鈰〕 칼 이름 시
铉〔鉉〕 솥귀 현
铒〔鉺〕 갈고리 이
铑〔銠〕 로듐 로
铕〔銪〕 유로퓸 유
铟〔銦〕 인듐 인
铷〔銣〕 루비듐 여
铯〔銫〕 세슘 색
铥〔銩〕 툴륨 주
铪〔鉿〕 하프늄 협
铞〔銱〕 탕관 조
铫〔銚〕 가래 조
铵〔銨〕 암모늄 안
衔〔銜〕 재갈 함
铲〔鏟〕 대패 산
铰〔鉸〕 가위 교
铳〔銃〕 총 총
铱〔銥〕 이리듐 의
铓〔鋩〕 서슬 망
铗〔鋏〕 집게 협
铐〔銬〕 쇠고랑 고
铏〔鉶〕 국그릇 형
铙〔鐃〕 징 요(뇨)
银〔銀〕 은 은
铛〔鐺〕 쇠사슬 당
铜〔銅〕 구리 동
铝〔鋁〕 줄 려
铡〔鍘〕 삭도 찰
铠〔鎧〕 갑옷 개
铨〔銓〕 사람 가릴 전
铢〔銖〕 저울눈 수
铣〔銑〕 무쇠 선
铤〔鋌〕 쇳덩이 정
铭〔銘〕 새길 명
铬〔鉻〕 깎을 락
铮〔錚〕 쇳소리 쟁
铧〔鏵〕 삽 화
铩〔鎩〕 창 쇄
揿〔撳〕 누를 흠
锌〔鋅〕 강할 자
锐〔鋭〕 날카로울 예
锑〔銻〕 안티몬 제
锒〔鋃〕 사슬 랑
铺〔鋪〕 펼 포
铸〔鑄〕 불릴 주
嵚〔嶔〕 높고 험할 금
锓〔鋟〕 새길 침
锃〔鋥〕 칼날 세울 정
链〔鏈〕 쇠사슬 련
铿〔鏗〕 금옥 소리 갱
锏〔鐧〕 수레 굴대 간
销〔銷〕 녹일 소
锁〔鎖〕 쇠사슬 쇄
锄〔鋤〕 호미 서
锅〔鍋〕 노구솥 과
锉〔銼〕 가마 좌
锈〔銹〕 녹슬 수
锋〔鋒〕 칼날 봉
锆〔鋯〕 지르코늄 고
铹〔鐒〕 놋그릇 로
锔〔鋦〕 꺾쇠 국
锕〔錒〕 노구솥 아
锎〔鐦〕 수레 굴대 개
铽〔鋱〕 테르븀 특
铼〔錸〕 레늄 래
锇〔鋨〕 쇠 철
锂〔鋰〕 리튬 리
锧〔鑕〕 도끼 질
锘〔鍩〕 취할 첨
锞〔錁〕 띠 치장 과
锭〔錠〕 덩이 정
锗〔鍺〕 바퀴통 쇠 타
锝〔鍀〕 테크네튬 득
锫〔錇〕 장구 부
错〔錯〕 어긋날 착, 둘 조
锚〔錨〕 닻 묘
锛〔錛〕 자귀 분
锯〔鋸〕 톱 거
锰〔錳〕 망간 맹
锢〔錮〕 막을 고
锟〔錕〕 붉은 쇠 곤
锡〔錫〕 주석 석
锣〔鑼〕 징 라
锤〔錘〕 저울추 추
锥〔錐〕 송곳 추
锦〔錦〕 비단 금
锨〔鍁〕 삽 흔
锱〔錙〕 저울눈 치
键〔鍵〕 열쇠 건
镀〔鍍〕 도금할 도
镃〔鎡〕 호미 자
镁〔鎂〕 마그네슘 미
镂〔鏤〕 새길 루
锲〔鍥〕 새길 계
锵〔鏘〕 금옥 소리 장
锷〔鍔〕 칼날 악
锶〔鍶〕 무쇠 그릇 송
锴〔鍇〕 쇠 개
锾〔鍰〕 여섯 냥쭝 환
锹〔鍬〕 가래 초
锿〔鎄〕 아인시타이늄 애
镅〔鎇〕 아메리슘 미
镄〔鐨〕 페르뮴 비
锻〔鍛〕 불릴 단
锸〔鍤〕 가래 삽
锼〔鎪〕 아로새길 수
镎〔鎿〕 넵투늄 나
镓〔鎵〕 갈륨 가
镋〔钂〕 삼지창 당
镔〔鑌〕 강철 빈
镒〔鎰〕 무게 이름 일
䦂〔䥇〕 낫 삼, 테르븀 특
镑〔鎊〕 깎을 방
镐〔鎬〕 호경 호
镉〔鎘〕 다리 굽은 솥 력
镊〔鑷〕 족집게 섭
镇〔鎮〕 진압할 진
镍〔鎳〕 니켈 얼
镌〔鎸〕 새길 전
镏〔鎦〕 시루 류
镜〔鏡〕 거울 경
镝〔鏑〕 화살촉 적
镛〔鏞〕 쇠북 용
镞〔鏃〕 화살촉 족(촉)
镖〔鏢〕 칼집 끝 장식 표
镚〔鏰〕 동전 붕
镗〔鏜〕 종고 소리 당
䦃〔鐯〕 괭이 작
镘〔鏝〕 흙손 만
镩〔鑹〕 작은 창 찬
镦〔鐓〕 창고달 대
䦅〔鐥〕 복자 선
镨〔鐠〕 모포 보
镧〔鑭〕 금채 란
镥〔鑥〕 루테튬 노
镤〔鏷〕 무쇠 박(복)
镢〔鐝〕 괭이 궐
镣〔鐐〕 은 료
镫〔鐙〕 등잔 등
镪〔鏹〕 돈 강
镰〔鐮〕 낫 겸
镱〔鐿〕 이테르븀 의
镭〔鐳〕 병 뢰
镬〔鑊〕 가마솥 확
镮〔鐶〕 고리 환
镯〔鐲〕 징 탁
镲〔鑔〕 동발 찰
镳〔鑣〕 재갈 표
镴〔鑞〕 땜납 랍
镶〔鑲〕 거푸집 속 양
䦆〔钁〕 괭이 곽
* 龸〔𦥯〕 (배울학 머리? - 성부)
峃〔嶨〕 돌산 학
学〔學〕 배울 학
觉〔覺〕 깨달을 각
搅〔攪〕 흔들 교
喾〔嚳〕 고할 곡
鲎〔鱟〕 참게 후
黉〔黌〕 학교 횡
* 𠬤〔睪〕 (엿볼 역, 못 택 - 성부)
译〔譯〕 번역할 역
泽〔澤〕 못 택
怿〔懌〕 기뻐할 역
择〔擇〕 가릴 택
峄〔嶧〕 산 이름 역
绎〔繹〕 풀 역
驿〔驛〕 역 역
铎〔鐸〕 방울 탁
萚〔蘀〕 낙엽 탁
释〔釋〕 풀 석
* 𢀖〔巠〕 (물줄기 경 - 성부)
劲〔勁〕 굳셀 경
刭〔剄〕 목 벨 경
陉〔陘〕 지레목 형
泾〔涇〕 통할 경
茎〔莖〕 줄기 경
径〔徑〕 지름길 경
经〔經〕 지날 경
烃〔烴〕 따뜻할 경
轻〔輕〕 가벼울 경
氢〔氫〕 수소 경
胫〔脛〕 정강이 경
痉〔痙〕 경련 경
羟〔羥〕 양 이름 간
颈〔頸〕 목 경
巯〔巰〕 메르캅탄 구
* 亦〔䜌〕 (어지러울 련 - 성부)
变〔變〕 변할 변
弯〔彎〕 굽을 만
孪〔孿〕 쌍둥이 산(련)
峦〔巒〕 메 만(란)
娈〔孌〕 아름다울 련
恋〔戀〕 그리워할 련
栾〔欒〕 둥글 란
挛〔攣〕 걸릴 련
鸾〔鸞〕 난새 란
湾〔灣〕 물굽이 만
蛮〔蠻〕 오랑캐 만
脔〔臠〕 저민 고기 련
滦〔灤〕 새어 흐를 란
銮〔鑾〕 방울 란
* 呙〔咼〕 (입비뚤어질 괘,와 - 성부)
剐〔剮〕 바를 과
涡〔渦〕 소용돌이 와
埚〔堝〕 도가니 과
㖞〔喎〕 입 비뚤어질 괘(와)
莴〔萵〕 상추 와
娲〔媧〕 사람 이름 왜
祸〔禍〕 재앙 화
脶〔腡〕 손금 라
窝〔窩〕 움집 와
锅〔鍋〕 노구솥 과
蜗〔蝸〕 달팽이 와
부록
이하 39자는 제1차 이체자 정리표(第一批异体字整理表)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 글자들은 간화자로 보이기 쉬우므로 조사 편의를 위해 여기에 첨부한다. 괄호 안의 글자는 사용이 중지된 이체자.
呆〔獃、騃〕 어리석을 애
迹〔跡、蹟〕 발자취 적, 자취 적
麻〔蔴〕 삼 마
席〔蓆〕 자리 석
韵〔韻〕 운 운
布〔佈〕 펼 포
秸〔稭〕 짚고갱이 갈(개)
脉〔脈〕 줄기 맥
凶〔兇〕 흉악할 흉
灾〔災〕 재앙 재
痴〔癡〕 어리석을 치
杰〔傑〕 뛰어날 걸 *杰(걸)은 木(목) 부수. 术(재주 술)이 아니다.
猫〔貓〕 고양이 묘
绣〔繡〕 수놓을 수
札〔剳、劄〕 찌를 차
床〔牀〕 평상 상
巨〔鉅〕 클 거
栖〔棲〕 깃들일 서
锈〔鏽〕 녹슬 수
扎〔紥、紮〕 감을 찰
唇〔脣〕 입술 순
昆〔崑、崐〕 산 이름 곤
弃〔棄〕 버릴 기
岩〔巖〕 바위 암
占〔佔〕 점령할 점
雇〔僱〕 품 팔 고
捆〔綑〕 짤 곤
升〔陞、昇〕 오를 승
异〔異〕 다를 이
周〔週〕 돌 주
挂〔掛〕 걸 괘
泪〔淚〕 눈물 루
笋〔筍〕 죽순 순
涌〔湧〕 물 솟을 용
注〔註〕 글 뜻 풀 주
哄〔閧、鬨〕 싸울 홍
厘〔釐〕 다스릴 리
它〔牠〕 뿔 없는 소 타
岳〔嶽〕 큰 산 악
아래에 나열된 지명용 글자는 생소하고 알아보기 어려운데, 이미 국무원의 변경허가를 받고 조사에 대비한 후에 기록함.
헤이룽장(黑龙江)
* 톄리현(铁骊县을 铁力县으로 개정)
- 骊(검은 말 려) → 力(힘 력)
* 아이후이현(瑷珲县을 爱辉县으로 개정)
- 瑷(아름다운 옥 애) → 爱(사랑 애)
- 珲(아름다운 옥 혼) → 辉(빛날 휘)
칭하이(青海)
* 먼위안후이족 자치현(亹源回族自治县을 门源回族自治县으로 개정)
- 亹(힘쓸 미, 골어귀 문) → 门(문 문)
신장(新疆)
* 허톈 지구(和阗专区을 和田专区로 개정)
- 阗(성할 전) → 田(밭 전)
* 허톈현(和阗县을 和田县으로 개정)
- 阗(성할 전) → 田(밭 전)
* 위톈현(于阗县을 于田县으로 개정)
- 阗(성할 전) → 田(밭 전)
* 뤄창현(婼羌县을 若羌县으로 개정)
- 婼(나라 이름 야) → 若(같을 약)
장시(江西)
* 위두현(雩都县을 于都县으로 개정)
- 雩(기우제 우) → 于(어조사 우)
* 다위현(大庾县을 大余县으로 개정)
- 庾(곳집 유) → 余(나 여)
* 취안난현(虔南县을 全南县으로 개정)
- 虔(공경할 건) → 全(온전할 전)
* 신간현(新淦县을 新干县으로 개정)
- 淦(물 이름 감) → 干(방패 간)
* 신위현(新喻县을 新余县으로 개정)
- 喻(깨우칠 유) → 余(나 여)
* 보양현(鄱阳县을 波阳县으로 개정)
- 鄱(고을 이름 파) → 波(물결 파)
* 쉰우현(寻邬县을 寻乌县으로 개정)
- 邬(땅 이름 교,오) → 乌(까마귀 오)
광시(广西)
* 위린현(鬰林县을 玉林县으로 개정)
- 鬰(답답할 울) → 玉(구슬 옥)
쓰촨(四川)
* 펑두현(酆都县을 丰都县으로 개정)
- 酆(나라 이름 풍) → 丰(예쁠 봉 / 풍년 풍의 간화자)
* 스주현(石砫县을 石柱县으로 개정)
- 砫(돌 감실 주) → 柱(기둥 주)
* 웨시현(越嶲县을 越西县으로 개정)
- 嶲(종족 이름 수, 고을 이름 전) → 西(서녘 서)
* 간뤄현(呷洛县을 甘洛县으로 개정)
- 呷(마실 합) → 甘(달 감)
구이저우(贵州)
* 우촨현(婺川县을 务川县으로 개정)
- 婺(별 이름 무) → 务(힘쓸 무)
* 시수이현(鳛水县을 习水县으로 개정)
- 鳛(미꾸라지 습) → 习(익힐 습)
산시(陕西)
* 상뤄 전구(专区) (商雒专区을 商洛专区로 개정)
- 雒(수리부엉이 락) → 洛(물 이름 락)
* 저우즈현(盩厔县을 周至县으로 개정)
- 盩(당겨 칠 주) → 周(두루 주)
- 厔(막을 질) → 至(이를 지)
* 메이현(郿县을 眉县으로 개정)
- 郿(땅 이름 미) → 眉(눈썹 미)
* 리취안현(醴泉县을 礼泉县으로 개정)
-醴(단술 례) → 礼(예도 례의 간화자)
* 허양현(郃阳县을 合阳县으로 개정)
- 郃(고을 이름 합) → 合(합할 합)
* 후현(鄠县을 户县으로 개정)
- 鄠(땅 이름 호) → 户(집 호)
* 뤄난현(雒南县을 洛南县으로 개정)
- 雒(수리부엉이 락) → 洛(물 이름 락)
* 빈현(邠县을 彬县으로 개정)
- 邠(나라 이름 빈) → 彬(빛날 빈)
* 푸현(鄜县을 富县으로 개정)
- 鄜(고을 이름 부) → 富(부유할 부)
* 자현(葭县을 佳县으로 개정)
- 葭(갈대 가) → 佳(아름다울 가)
* 몐현(沔县을 勉县으로 개정)
- 沔(물 이름 면) → 勉(힘쓸 면)
* 쉰이현(栒邑县을 旬邑县으로 개정)
- 栒(가름대 순) → 旬(열흘 순)
* 쉰양현(洵阳县을 旬阳县으로 개정)
- 洵(참으로 순) → 旬(열흘 순)
* 첸양현(汧阳县을 千阳县으로 개정)
- 汧(강 이름 견) → 千(일천 천)
그 밖에도 두 종류의 지명용 글자가 변화함 :
1. 한자의 간화때문에 (예)랴오닝성 선양시(瀋阳市 → 沈阳市)
- 瀋(즙 낼 심, 성씨 심) → 沈(잠길 침, 성씨 심)
2. 이체자 정리때문에 (예)허난성 쉰현(濬县 → 浚县)
- 濬(깊을 준) → 浚(깊게 할 준)
------------------
이걸로 간화자총표에 대한 내용 분석을 마친다. 간화자의 생성원리만 이해한다면 어떤 중국식 한자를 봐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해가 잘 안된다.)
그럼 이만...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키 누를때 뜨는 보라색 한자에 대한 고찰. (0) | 2021.01.17 |
---|---|
일본 한자 신자체 중에서 구자체와 자형이 다른 글자들. (0) | 2021.01.15 |
간화자총표 제3표 파트1 (한국 한자음 추가) (0) | 2021.01.07 |
간화자총표 제1표·제2표 (한국 한자음 추가) (0) | 2021.01.06 |
크롬에서 네모로 나오는 유니코드 확장영역 한자들을 정상출력시켜본다.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