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웬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트위치가 2024년 2월 27일부로 한국에서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소식이었다. (링크)
서비스 종료를 하게 된 계기로는 '다른 국가에 비해 10배가 더 높은 한국의 네트워크 수수료' 를 언급하였다. 결국 주 원인은 '망 사용료' 때문이었다.
서비스 종료 이후, 한국 시청자들은 비트나 구독 같은 유료 상품을 구매할 수 없게 된다. 한국 스트리머들은 자기 채널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고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게 된다.
다만 위의 공지와 운영 종료 가이드(링크) 만으로는 아직 설명이 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다.
수익 창출 중단에 관해서만 언급하고 있고, 서비스 종료 후 한국 IP의 방송 가능 여부 · 시청 가능 여부 · 화질 1080p / 다시보기 복귀 여부에 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물론 트위치의 한국 서비스 종료에는 '망 사용료'가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화질·다시보기 복귀는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어려워 보인다. 지금처럼 한국 IP에 대한 제한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트위치 CEO가 이 사항과 관련하여 12월 6일 오전에 라이브 방송을 진행한 것이 있다. (이 링크를 VPN으로 접속할 시 다시보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CEO는 서비스 종료 이후 한국 IP의 방송·시청 가능 여부에 관해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 (번역 자막을 옮겨 적는다.)
"...일단 2월 27일까지는 다른 차이점이 없겠습니다만 2월 27일 이후 한국 스트리머들이 더 이상 수익 창출을 할 수 없고, 한국 IP에서부터 나가는 스트리밍은 더 이상 보여줄 수 없을 것입니다. "
"...해외에서 스트리밍할 때 ('해외에서 스트리밍하는 방송을 시청하는 데에 있어서' 로 해석됨) 한국 시청자들은 어떻게 되느냐? 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 전 질문에서 답변드린 것처럼 일단 저희가 확인해봐야 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차후에는 확인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 발언이 번복되지 않는다면, 한국 IP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은 금지되며, 시청 금지 여부는 추후에 따로 공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4.02.27 추가 : 한국 방송서버가 없어져서 버퍼링이나 딜레이가 더 생기는 것 빼고는 방송에 제약은 없었다. CEO의 말은 '한국 IP'가 아닌 '한국 방송서버' 였던 것이다. 젠장...)
VPN 같은 우회 수단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것까진 막을 수 없겠지만, 들킬 경우 우회 행위로 계정 정지 조치를 받을 수도 있으니 방송을 강행하기도 좀 그렇다.
...내년 2월 말 이후, 개망초방송은 어떤 길로 가야 하나...
네이버가 이번 달 19일 '치지직' 이라는 신규 스트리밍 플랫폼을 연다고 하는데, 국내 서비스인 이상 트위치나 유튜브에 비해 규제 수준은 더욱 높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도 '찍먹' 정도는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베타테스트 신청 기준이 팔로워 1만명이다. 따라서 나는 찍먹 조차도 할 수 없다. 젠장...)
킥(Kick)은 아직도 한글 닉네임을 지원하지 않는 등 열악한 환경이고, 아프리카TV는 예나 지금이나 갈 생각이 없다. 카카오TV는... 다음팟 시절에 비해 완전히 무인도 수준이 되었다. 그렇다면 남은 건 유튜브 뿐인가? 유튜브도 대체 수단이 없으니까 쓰고 있는 것일 뿐, 당한 게 많아서 별로 좋은 감정이 없다.
추운 겨울에 싸늘한 소식만 들려오니...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일단 2월 말까지는 계속 트위치에서 스트리밍을 하고... 철수하면 뭐 그땐... 그때 가서 생각해야겠다.
그럼 이만...
'버미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llElevenLabs의 AI 더빙 기술로 쓰르라미 울 적에 명장면을 더빙시켜 본다. (2) | 2023.10.28 |
---|---|
프리블록스 VRM 용량 제한 해제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해야만 해준다고 한다. (0) | 2023.09.12 |
RVC 보이스체인저 노래 테스트 정리. (0) | 2023.04.28 |
AI음성기술 RVC와 VC Client라는 보이스체인저를 사용해보았다. (22) | 2023.04.25 |
버미육 도전일기... - 30부 (完) (4) | 2023.04.14 |